라벨이 금융소득인 게시물 표시

ISA 계좌 단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들어야 하는 이유

 요즘 물가가 많이 올라 힘드시죠. 이럴 때일 수록 "10원 한장도 더 모아야지"라는 생각이 절실하실 텐데요. 우리가 은행에 예적금을 든 다음에 이자를 받을 때 내는 세금과 주식에 투자해서 배당을 받을 때 내는 세금인 금융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제도가 있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ISA 계좌 단점 바로 ISA 계좌인데요. 그렇다고 무조건 계좌를 만들 수는 없으니, 단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ISA 계좌에서 개인이 직접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은 중개형 ISA 계좌입니다. 일임형과 신탁형도 있지만, 오늘은 중개형에 대해서만 얘기를 하겠습니다. 중개형 ISA 계좌를 통해 투자를 하는 경우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은 국내에 상장된 주식, ETF, 펀드 등으로 한정 됩니다. 즉, 요즘에 인기가 많은 투자처인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를 할 수 없는 아주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3년의 의무 유지 기간이 있어 3년간 투자금이 묶이게 됩니다. 중도 인출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 중도 인출한 금액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며, 원래대로 15.4%의 금융소득세(배당, 이자)가 부과 됩니다. ISA 계좌 장점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최대 400만 원의 비과세 혀택(현행 서민형 기준, 일반형은 200만 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추천을 드립니다. 그리고 당장 큰돈이 필요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돈을 모아야 하는 사회 초년생 분들에게는 아주 좋은 혜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일반형은 200만 원, 서민형과 농어민형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초과 이익분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가 됩니다. 분리과세가 되면 종합소득세 누진세율 구간이 낮아지기 때문에 큰 절세 효과 를 누리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 투자 방법 그런데 나는 미국주식만 투자할 건데 어차피 미국주식에는 투자를 못하니 의미가 없는 것 아니냐고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국내 운용사가 운용하는 미국 지수 ...

65세 넘은 부모님 계시면,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 꼭 만들어 드리세요

65세가 넘으신 부모님이 계시다면, ISA 계좌 만들기 전에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 먼저 만들어 드리세요. 더 많이 세금 감면 받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가 뭔데?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란 사회적 약자(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 유공자, 독립 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금융 소득에 대해 전액 비과세 혜택을 주는 복지 상품입니다. 증권사에 방문하여 발급이 가능합니다. 투자 대상은 국내 상장된 주식, ETF, ELS, 펀드 등이 해당됩니다. ISA와의 차이는? 금융 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주는 계좌라고 하면 IRP나 ISA 계좌 등을 먼저 떠올리실 텐데요. 개인 퇴직금 관리 개념인 IRP는 제외하고, ISA와의 차이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 / ISA 계좌 납입 한도: 5천만 원 / 2천만 원(의무보유기간 만기 시 6천만 원, 최장 5년 최대 1억 원) 비과세 한도: 무제한 / 200만 원 중도 인출: 가능 / 가능하나, 기존에 받은 혜택 토해냄 의무 유지 기간: 없음 / 3년 활용 방법 상황에 따라 다르시겠지만, 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에 먼저 5천만 원을 넣으시고 남는 금액을 ISA 계좌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ISA 계좌는 미리 만들어 두시고 만기에 임박했을 때 돈을 넣고 배당을 받는 방법도 생각해 보실 수 있습니다.